맨위로가기

그린 베레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린 베레는 1968년에 개봉한 영화로,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지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 기자 조지 벡워스가 그린 베레 부대에 배속되어 베트남에서 겪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영화는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의 공격, 전쟁 고아 햄 척과의 관계, 그리고 미군의 작전을 보여주며, 존 웨인이 마이크 커비 대령 역을 맡았다. 개봉 당시 비판적인 평가와 함께, 흥행에는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머빈 르로이 감독 영화 - 4시의 악마
    4시의 악마는 1961년 개봉한 미국의 재난 드라마 영화로, 화산 폭발 속에서 아이들을 구출하기 위해 헌신하는 신부와 죄수들의 탈출 과정을 그린다.
  • 머빈 르로이 감독 영화 - 작은 아씨들 (1949년 영화)
    머빈 르로이가 감독하고 MGM에서 제작한 영화 《작은 아씨들》은 루이자 메이 올컷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남북 전쟁 중 마치 가 네 자매의 성장과 사랑을 그린 작품이며, 제22회 아카데미상에서 미술상을 수상했다.
  • 미국 육군 특전부대를 소재로 한 영화 - 지옥의 묵시록
    조셉 콘래드의 소설 『암흑의 심연』을 바탕으로, 베트남 전쟁 중 윌라드 대위가 커츠 대령 암살 임무를 수행하며 전쟁의 잔혹한 현실과 마주하고 커츠의 광기를 접한 후 그를 암살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지옥의 묵시록》은 여러 버전으로 제작되었으며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미국 육군 특전부대를 소재로 한 영화 - 다이하드 2
    다이하드 2는 1990년 개봉한 액션 스릴러 영화로, 존 맥클레인이 테러리스트의 공항 점거 사건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다룬다.
  • 앨라배마주에서 촬영한 영화 - 마녀를 잡아라 (영화)
    마녀를 잡아라는 2020년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의 판타지 코미디 영화로, 마녀들의 음모를 알게 된 소년이 쥐로 변한 친구들과 함께 마녀의 계획을 막기 위해 노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앨라배마주에서 촬영한 영화 - 빅 피쉬
    《빅 피쉬》는 다니엘 월러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팀 버튼이 감독한 판타지 드라마 영화로, 허풍쟁이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통해 현실과 환상, 가족의 의미를 탐구하는 이야기이며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
그린 베레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영화 개봉 포스터 (프랭크 매카시 그림)
원작《그린 베레》 (1965년 소설), 로빈 무어
감독존 웨인
레이 켈로그
마빈 르로이(크레딧에 없음)
제작마이클 웨인
각본제임스 리 바렛
음악로저 미클로스
촬영윈턴 C. 호크
편집오소 러버링
제작사바트잭 프로덕션
배급사워너 브라더스-세븐 아츠
개봉일1968년 6월 19일 (미국 뉴욕)
상영 시간142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베트남어
색채테크니컬러
출연
주연존 웨인
데이비드 잰슨
짐 허턴
알도 레이
레이먼드 생 자크
브루스 캐벗
패트릭 웨인
루크 애스큐
조지 타케이
흥행
제작비700만 달러
흥행 수입3200만 달러

2. 줄거리

영화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반부는 냉소적인 기자 조지 벡워스가 미 육군 특수 부대의 브리핑에 참석하고 베트남 전쟁에 종군하면서 미국의 군사 개입에 대한 시각이 변화하는 과정을 그린다. 벡워스는 처음에는 회의적이었지만, 그린베레의 활약과 베트콩의 잔혹 행위를 목격하면서 점차 미국의 입장을 옹호하게 된다.[29]

그린베레의 마이크 커비 대령은 벡워스에게 베트남에 종군하여 진실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것을 제안한다. 벡워스는 베트콩에 의해 고문당하고 처형된, 미국과 협력한 혐의가 있는 마을 족장의 손녀를 발견한다. 이후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은 캠프에 대규모 공격을 시작하고, 벡워스는 그린 베레와 함께 싸우게 된다. 그는 또한 민간인들을 교차 사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캠프로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다.

후반부는 마이크 커비 대령이 이끄는 그린베레 팀이 북베트남의 고위 장성을 납치하는 비밀 작전을 수행하는 과정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그린베레 대원들은 뛰어난 전투 능력과 희생정신을 보여준다. 커비는 그의 상관인 모건 대령과 남베트남 측인 차이 대령을 만난다. 그들은 남베트남의 조건으로 전쟁을 끝내고 적의 지도력을 교란시킬 수 있도록 북베트남 파 손 티 장군을 생포하는 극비 임무에 대해 이야기한다. 차이 대령은 그의 매형인 린을 미인계로 사용하여 파 손 티 장군을 북베트남의 잘 지켜진 계곡에 있는 전 프랑스 식민지 저택으로 유인한다.

3. 등장인물

이 영화는 스타 트렉의 고정 출연자였던 조지 타케이를 캐스팅한 것으로 유명하다. 타케이가 영화에 출연하면서 ''스타 트렉'' 시즌 2 에피소드의 상당 부분을 촬영하지 못했고, 그의 대사는 월터 케니그가 연기한 파벨 체코프 역으로 다시 쓰였다. 케니그는 타케이의 부재로 주요 스타 트렉 주연 중 한 명으로 성장했다.[4]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TBS판)일본어 더빙 (후지 텔레비판)
마이크 커비 대령존 웨인고바야시 쇼지
조지 백워스 기자데이비드 잰슨모리카와 코야무츠 고로
피터슨 하사짐 허턴요코미츠 카츠히코토미야마 케이
마르둔 하사알도 레이미야카와 요이치
"독" 매기 하사레이몬드 세인트 자크우츠미 켄지
모건 대령브루스 캐봇키무라 호로
카이 대령잭 수아오노 타케시
님 대위조지 타케이
재미슨 중위패트릭 웨인
프로보 하사루크 아스큐
아이린 추우에다 미유키
맥다니엘 대위에드워드 포크너
콜먼 대위제이슨 에버스
코왈스키 하사마이크 헨리
햄챙크크레이그 주이케다 마코토
사령관제임스 시치바 준지
기타나야 로쿠로, 이치카와 오사무, 시로야마 치카오, 와카모토 노리아키, 카토 오사무, 이부 마사유키, 야스다 타카시, 미키모토 타케시, 히다카 고로, 이시마루 히로야, 히로세 마사시, 타케구치 아키코, 오타키 스스무, 이이즈카 쇼조도호쿠 신샤 제작


  • TBS판: 첫 방송일 1974년 3월 25일 『월요 로드쇼』
  • 후지 텔레비판: 첫 방송일 1980년 3월 7일 『골든 서양 영화 극장』

3. 1. 주연


  • 존 웨인 - 마이크 커비 대령 역
  • 데이비드 잰슨 - 조지 베크워스 역
  • 짐 허튼 - 피터슨 하사 역
  • 알도 레이 - 멀둔 상사 역
  • 레이몬드 세인트 자크 - 맥기 중사 역
  • 브루스 캐벗 - 모건 대령 역
  • 잭 수 - 차이 대령 역
  • 조지 타케이 - 님 대위 역
  • 패트릭 웨인 - 제이미슨 중위 역
  • 루크 애스큐 - 프로보 하사 역
  • 아이린 추 - 린 역
  • 에드워드 폴크너 - 맥다니엘 대위 역
  • 제이슨 에버스 - 콜먼 대위 역
  • 마이크 헨리 - 코왈스키 하사 역
  • 크레이그 주 - 햄척 역
  • 척 로버슨 - 그리핀 중사 역
  • 에디 도노 - 왓슨 상사 역
  • 리처드 "캐터스" 프라이어 - 콜리어 역[3]

3. 2. 조연



이 영화는 당시 TV 드라마 시리즈 ''스타 트렉''의 고정 출연자였던 조지 타케이를 캐스팅한 것으로 유명하다.[4] 타케이가 영화에 출연하게 되면서, 그는 ''스타 트렉'' 시즌 2 에피소드의 거의 3분의 1을 촬영하지 못했다.[4] 그의 대사는 이후 배우 월터 케니그가 연기한 파벨 체코프의 배역을 위해 다시 쓰였다.[4] 원래 거의 대사가 없는 배경 캐릭터로 캐스팅되었던 케니그는 타케이의 부재로 인해 주요 ''스타 트렉'' 주연 중 한 명으로 성장했고, 체코프는 오리지널 시리즈와 후속 영화 모두에서 고정 캐릭터가 되었다.[4]

4. 제작

이 영화는 반공주의남베트남에서 미국군의 긍정적인 모습을 담은 프로파간다를 주제로 한다. 제작 당시인 1968년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이 절정에 달했고, 구정 공세가 있었던 해였다. 존 웨인은 미국 내에서 고조되는 반전 여론과 사회적 불만에 반대하며 이 영화 제작에 착수했다. 그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지지했고, 이 영화를 통해 베트남에서 싸우는 병사들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하고자 했다.

컬럼비아 픽처스의 각본가 데이비드 L. 월퍼는 원작 소설의 영화화 판권을 구입했으나, 군 당국의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각본을 만들지 못했다[28]。 이후 제임스 리 배럿이 각본을 맡았지만, 육군은 남베트남군 주둔지 전투 장면과 북베트남군 장군 유괴 작전 묘사에 대한 수정을 요구했다.[29]

영화 속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은 잔혹하지만 유능한 적으로 묘사된다. 또한, 베트남 전쟁이 기존 전쟁과 달리 정해진 전선이 없는 밀림전이며,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의 스파이 활동에 대해서도 묘사하고 있다. 이 영화는 남베트남군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드문 영화 중 하나이다.

4. 1. 제작 과정

존 웨인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강력하게 지지했으며, 이 영화를 통해 그린 베레에 대한 헌사를 바치고자 했다.[7] 그는 미국 국방부린든 B. 존슨 대통령에게 제작 협조를 요청하여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다.[28]

영화의 상당 부분은 1967년 여름 구정 공세 이전에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촬영되었다.[7] 미국 육군은 여러 대의 UH-1 휴이 공격 헬리콥터와 C-7 Caribou 경수송기를 제공했다.[7] 미국 공군은 두 대의 C-130 허큘리스 수송기와 두 대의 A-1 Skyraider 공격기를 제공했으며, AC-47 퍼프 더 매직 드래곤 건쉽과 스카이훅 펄튼 회수 시스템을 사용하는 HC-130 Hercules의 필름 영상도 제공했다.[7] 육군은 배우들이 사용할 진품 군복도 제공했는데, 여기에는 OG-107 그린색과 "타이거 스트라이프" 열대 전투복(정글 피로티그)이 포함되었으며, 베트남 전쟁 당시의 정확한 은폐된 부대 마크와 이름표가 부착되었다.[7]

1967년 당시 포트 베닝의 미국 육군 공수 학교 실제 사령관이었던 라마 애스버리 "빌" 웰치 대령은 존 웨인과 함께 스키트 사격하는 짧은 카메오 출연을 했다. 웰치는 해당 장면에서 1960년대 미 육군 피로티그 야구 모자(베트남 전쟁 동안 흔히 보급됨)를 착용했고, 배우들은 그린 베레를 착용했다. 웨인이 소리치는 연병장에서 훈련하는 병사들은 실제 육군 공수 훈련병이었다.[7]

4. 2. 각본

컬럼비아 픽처스의 각본가 데이비드 L. 월퍼는 원작 소설의 영화화 판권을 구입했으나, 군 당국의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각본을 제작하지 못했다.[28] 이후 제임스 리 배럿이 각본을 맡았지만, 육군남베트남군이 방어하는 주둔지에서의 전투 장면 묘사와 북베트남에서 장군을 납치하는 작전 묘사에 대해 몇 가지 수정을 요구했다.[29]

4. 3. 음악

엘머 번스타인은 존 웨인의 초기 영화 음악 제작에 자주 협력하던 친구였으나, 정치적 신념을 이유로 《그린 베레》의 음악 작업을 거절했다. 이후 로자 미클로스가 음악을 맡게 되었는데, 존 웨인은 그에게 "서부극이 아니라 동부극(Eastern)"이라고 설명했다.[33]

주제가로는 당시 현역 그린 베레 대원이었던 배리 새들러 병장의 히트곡 "그린 베레의 발라드"가 켄 더비 합창단에 의해 불렸다. 로자는 베트남 가수 Bạch Yến이 나이트클럽에서 부르는 곡 등 다양한 곡을 제공했지만,[34] 보라 십자가 깃발을 높이 등은 최종적으로 삭제되었다.

5. 평가

그린 베레영어는 평론가들의 혹평과 미국 및 해외에서의 시위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으로 성공했다.[22][23] 존 웨인은 언론의 부정적인 평론이 영화보다는 전쟁에 대한 비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고, 이것이 오히려 흥행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했다.[24]

이 영화는 미국 영화 연구소에서 다음과 같이 인정받았다.


  • 2005년: AFI 선정 100대 영화 명대사:
  • 마이크 커비 대령: "여기선 적법 절차는 총알이지." — 후보[27]


본작의 주제는 반공주의남베트남에서의 미국군의 긍정적인 프로파간다이다. 1968년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이 정점에 달했고, 구정 공세가 있었던 해이다. 존 웨인은 미국 내에서 고조되는 반전 및 염전 분위기와 사회적 불만에 반대하는 형태로 이 영화 제작에 착수했다. 웨인은 항상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지지하는 입장이었고, 이 "그린 베레"를 베트남에서 싸우는 병사들에 대한 존경심으로 나타내려 했다. 그는 제작에 앞서, 린든 B. 존슨 대통령에게 미국 육군의 완전한 협력을 요청해 얻는 데 성공했다. 또한, 촬영 당시 웨인은 영화의 공동 제작자가 되었기 때문에, 특공대작전의 주인공 라이즈만 소령 역 제안을 거절했다.

컬럼비아 픽처스의 각본가 데이비드 L. 월퍼는 군 당국의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각본을 만들지 못했다.[28] 이후 제임스 리 배럿이 각본을 맡았지만, 육군은 남베트남군이 방어하고 있는 주둔지에서의 전투 장면과 북베트남에서 장군을 유괴하는 작전 묘사에 대해 몇 가지 수정을 요구했다.[29]

작중 북베트남군이나 베트콩은 사디스틱한 폭군으로 묘사되지만, 유능하고 자발적인 적이기도 하다. 또한 본작에서는 베트남 전쟁이 정해진 전선 없이 적이 어디에서든 나타나는 밀림전의 특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의 스파이 활동에 대해서도 묘사하고 있다. 남베트남군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보이는 드문 영화 중 하나이다.

5. 1. 비판적 시각

이 작품은 베트남 전쟁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보인다는 점에서 특히 비판을 받았다.[30]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를 "별 0개"로 평가하며 "낡은 상투적인 표현으로 『카우보이와 인디언』의 싸움을 그린 『고압적이고 시대착오적인 영화』"라고 평했다.[30] 올리버 스톤의 반전 영화 플래툰은 그 일부에 본 작품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고 한다.[31]

베트남 전쟁과 관련된 정치적인 비판 외에도, 영상 면에서의 촬영 실수도 지적되었다. 자주 지적되는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 마지막 장면에서 석양이 바다로 지는 모습이 나오지만, 베트남은 인도차이나 반도 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베트남 국내 해안에서 이러한 광경을 볼 수 있는 곳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베트남 국내에서도 캄란 반도, 붕따우, 사이공 남쪽 등에서는 바다로 지는 석양을 볼 수 있다.)
  • 극 중에서 커비 대령이 M16 소총을 나무에 내리쳐 부러뜨리는 장면이 있는데, 이 소총이 분명히 마텔사의 장난감이었다.


전자는 실제 촬영이 포트 베닝 주둔지(제75레인저 연대 본부)가 있는 조지아주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후자는 커비 대령의 강인함을 보여줄 필요가 있어서 이 장면에 한해서 일부러 부서지기 쉬운 장난감을 사용한 것이다.

풀 메탈 재킷의 원작 소설 제2부의 첫 부분에는, 베트남의 미군 기지에서 "그린 베레"가 상영되는 장면이 있다. 영화의 연출과 현실의 전쟁 간의 괴리가 너무 커서, 이 영화를 본 전선에서 돌아온 해병대원들이 폭소하며 소란을 피운다는 내용이다.

5. 2. 흥행 성공

비판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영화 그린 베레영어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22][23] 존 웨인은 언론의 비판이 영화 자체가 아니라 전쟁을 향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오히려 이러한 비판이 영화의 흥행에 기여했다고 말했다.[24][32]

웨인은 "비평가들이 나, 영화, 그리고 전쟁을 너무 과하게 비판했다"고 말했다. "그 결과, 너무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보러 갔고, 3개월 만에 배급사로부터 800만달러의 수표를 받았습니다. 그것이 영화 제작 비용이었고, 다음 날부터 수익을 냈습니다."[25] ''그린 베레''는 1968년 북미 지역에서 869.9999999999999만달러의 대여 수익을 올렸다.[26]

6. 한국판 성우진 (MBC, 1985년 1월 2일)

해당 섹션은 원본 소스에 관련 내용이 없어 비어 있습니다.

7. 논란 및 영향

이 영화는 반공주의남베트남에서의 미국군에 대한 긍정적인 프로파간다를 주제로 삼고 있다. 영화가 제작된 1968년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로, 구정 공세가 있었던 해이기도 하다. 존 웨인은 미국 내에서 고조되던 반전 및 염전 분위기와 사회적 불만에 반대하며 이 영화 제작에 착수했다. 그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지지했으며, 이 영화를 통해 베트남에서 싸우는 병사들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하고자 했다.[28]

그러나 원작 소설의 영화화 권리를 구입했던 컬럼비아 픽처스의 각본가 데이비드 L. 월퍼는 군 당국의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각본을 만들지 못했다.[28] 이후 각본을 맡은 제임스 리 배럿 역시 육군으로부터 몇 가지 수정을 요구받았다. 남베트남군이 방어하는 주둔지에서의 전투 장면과 북베트남에서 장군을 유괴하는 작전 묘사에 대한 요구였다.[29]

영화에서 악역인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은 가학적인 폭군이지만, 유능하고 자발적인 적으로 묘사된다. 또한, 베트남 전쟁이 이전의 미국 대외 전쟁과 달리 정해진 전선이 없고 적이 어디에서든 나타나는 밀림전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의 스파이 활동에 대해서도 묘사하고 있다. 이 영화는 A Yank in Viet-Nam|육탄 08작전영어처럼 남베트남군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드문 영화 중 하나이다.

미국이 아시아 전쟁에 군사적으로 개입하는 것에 회의적인 일반인과 저널리스트들에게, 국제적인 공산주의가 미국이 베트남에서 대치하고 있는 적이라는 설명이 제공되었다. 그린베레는 그 증거로 베트남에서 노획한 소비에트 연방, 체코슬로바키아, 중국 등 공산 국가에서 제조된 무기와 장비를 보여주었다.

8. 기타

이 영화는 당시 TV 드라마 시리즈 ''스타 트렉''의 고정 출연자였던 조지 타케이를 캐스팅한 것으로 유명하다. 타케이가 영화에 출연하게 되면서, 그는 ''스타 트렉'' 시즌 2 에피소드의 거의 3분의 1을 촬영하지 못했다. 그의 대사는 이후 배우 월터 케니그가 연기한 파벨 체코프의 배역을 위해 다시 쓰였다. 원래 거의 대사가 없는 배경 캐릭터로 캐스팅되었던 케니그는 타케이의 부재로 인해 주요 ''스타 트렉'' 주연 중 한 명으로 성장했고, 체코프는 오리지널 시리즈와 후속 영화 모두에서 고정 캐릭터가 되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The Green Berets, Box Office Information http://www.the-numbe[...] The Numbers 2012-05-23
[2] 서적 "The Green Berets: The Amazing Story of the U.S. Army's Elite Special Forces Unit" Skyhorse Publishing Inc.
[3] 웹사이트 Westlake, TX News http://westlakepicay[...] 2013-04-04
[4] 웹사이트 The Reason Star Trek Added Chekov In TOS Season 2 https://screenrant.c[...] 2023-01-11
[5] 서적 Guts and Glory: The Making of the American Military Image in Film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6] 서적 George J(erome) W(aldo) Goodman Summary http://www.bookrags.[...] 2011-06-21
[7] 웹사이트 From "The Movemakers", The Making of the "Green Berets" (1968) https://www.imdb.com[...] 2018-06-29
[8] 서적 John Wayne: The Man Behind the Myth Robson Publishing
[9] 서적 The Green Berets Crown Publishing
[10] 서적 John Wayne: The Man Behind the Myth Robson
[11] 웹사이트 The Green Berets (1968) http://www.screenarc[...] 2010-03-16
[12] 웹사이트 More Sonobeat Artists http://sonobeatrecor[...]
[13] 웹사이트 The Green Berets http://www.rogereber[...] rogerebert.com 1968-06-26
[14] 뉴스 A Complex War in Simple Terms https://www.newspape[...] 1968-06-27
[15] 뉴스 All Can Agree on Wayne's War Film 1968-06-27
[16] 뉴스 Screen: 'Green Berets' as Viewed by John Wayne: War Movie Arrives at the Warner Theater https://archive.nyti[...] 1968-06-20
[17] 비디오 Platoon DVD commentary MGM Home Entertainment 2001
[18] 서적 The Short-Timers Harper & Row
[19] 웹사이트 Freedom Next Time: Resisting the Empire http://play.rbn.com/[...] Democracy Now
[20] 웹사이트 Green Berets (1968): Vietnam War as Seen by John Wayne as Director and Star http://emanuellevy.c[...] emanuellevy.com 2006-01-29
[21] 웹사이트 The Green Berets https://www.rottento[...]
[22] 문서 The Combat Film – the death and rebirth of an American film tradition https://www.duo.uio.[...]
[23] 문서 New Approaches to Rhetoric, George N. Dionisopoulos, Chapter 8: John Wayne, the Green Berets, and the Containment Doctrine
[24] 뉴스 Wayne's 'Green Berets' Is A Big Money-Maker https://www.newspape[...] 1969-01-06
[25] 뉴스 DUKE 1970-01-25
[26] 뉴스 Big Rental Films of 1968 1969-01-08
[27] 웹사이트 AFI's 100 Years...100 Movie Quotes Nominees http://www.afi.com/D[...]
[28] 서적 Guts and Glory: The Making of the American Military Image in Film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29] 서적 John Wayne: The Man Behind the Myth Robson Publishing
[30] 웹사이트 The Green Berets - Roger Ebert's Review http://rogerebert.su[...]
[31] 비디오 Platoon DVD commentary MGM Home Entertainment 2001
[32] 뉴스 Wayne's 'Green Berets' Is A Big Money-Maker The Miami News 1969-01-06
[33] 웹사이트 The Green Berets (1968) http://www.screenarc[...]
[34] 웹사이트 More Sonobeat Artists http://sonobeatrec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